2주차 영어교수법 2 - CUFScontents.cufs.ac.kr/contents/eng/EE0321/pdf/EE0321_unit02.pdf ·...

122
2 주차 영어교수법 2 Introduction

Transcript of 2주차 영어교수법 2 - CUFScontents.cufs.ac.kr/contents/eng/EE0321/pdf/EE0321_unit02.pdf ·...

2주차 영어교수법 2

Introduction

학습목표

• 과제 중심의 교수법, 학습자 중심지도, 협동학습/상호작용학습, 총체적 언어교육/내용 중심의 학습 등을 이해하고 장단점을 파악핛 수 있다.

01

학습내용

인지적 기호학습법 01

암시교수법/침묵식 교수법 02

젂싞 반응법/자연식 접근법 03

계몽된, 젃충식 접근법 04

의사 소통 중심의 교수법 05

Lecture 1. 청화식 교수법

2주차 영어교수법 2

청화식 교수법

Audio-Lingual Method

1930년대 미국의 구조주의 얶어학과 행동주의 심리학의 영향을 받아 발젂핚 방법으로서 듟고 말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

청화식 교수법

장점 단점

정확핚 발음의 훈렦과 청각 훈렦, 정상적인 속도의 대화를 듟고

이해하는 훈렦, 정상적인 속도로

말하는 훈렦, 습관적이고 자동적으로

얶어반응을 나타내는 훈렦

문형연습과 같은 기계적인 연습에

치중핚 나머지 적젃핚 설명의 부족, 다양핚

학습홗동의 결여, 참된 얶어 행위, 즉, 창조적 얶어홗동의 성격을 띠는 연습의

결핍

2주차 영어교수법 2

Lecture 2. 20세기 후반 1

인지학습법(Cognitive Approach; Cognitive-Code Learning, CCL)

특징

대표적인 규칙선행 학습법 즉, ‚선 규칙 습득, 후 응용‛

선얶적 얶어지식(사물에 대하여 앉고 있는 지식)을 얶어능력에 포함시켰음

촘스키의 이롞에다 청화식 교수법을 실제 적용핚 것임

인지학습법(Cognitive Approach; Cognitive-Code Learning, CCL)

Chastin(1971)의 주장

외국어 학습의 목표는 목표어 화자의 것과 유사핚 정도의 얶어능력(Competence)을 갖는 것

교사는 학습자의 능력을 길러 줌에 있어 얶어능력(Competence)을 얶어수행(Performance) 보다 우선시 해야 함

문법을 먼저 알게 해야 함

인지학습법(Cognitive Approach; Cognitive-Code Learning, CCL)

듟기 훈렦

교사는 minimal pair drills로써 학습자에게 음소의 구별을 시켜줌

소리의 구별

학습자로 하여금 맋은 청해 자료를 듟게 함. 처음에는 짧은 것을, 나중에는 긴 것을 듟게 해야 함. 청화식 교수법에서와 마찪가지로 모방과 암기가 중요함

소리의 기억

인지학습법(Cognitive Approach; Cognitive-Code Learning, CCL)

듟기 훈렦

소리내어 읽기, 받아쓰기 등도 중요핚 방법임

소리의 기억

소리를 듟고 기억하게 되면 비로소 이해능력이 생기게 됨. 교사는 학생에게 세부적인 모듞 사항을 이해핛 필요가 없다는 것을 주지시킴

소리의 이해

인지학습법(Cognitive Approach; Cognitive-Code Learning, CCL)

말하기 지도

모방암기(Mimicry-memorization)

문형연습(Pattern drills)

질문응답 연습

긴 내용 요약하기

핚정된 어휘와 문형을 사용하여 구두로 보고하기

정해짂 제목에 관해 토롞하기

1970년대의 소위 “Designer” Methods

디자이너 교수법

공동체언어 학습법 01

암시교수법 02

침묵식 교수법 03

전싞 반응법 04

자연식 접근법 05

Community Language Learning : 공동체 언어 학습법

Charles Curran의 ‚Counseling-Learning Model”의 특징

‚집단‛ 구성원이 상호 졲중하는 분위기에서 학습자가 상호작용을 핛 경우에야 학습이 가능함

이런 분위기에서 학습자든은 상호 작용적 의사소통을 저해하는 자기방어수준을 낮출 수 있음

Community Language Learning : 공동체 언어 학습법

Charles Curran의 ‚Counseling-Learning Model”의 특징

‚상호 지지적 집단(Community)형성‛을 통해 교육적 상황에서 야기되는 불앆요소를 줄일 수 있음

교사는 위협적 졲재가 아니라, 고객(학생)의 요구에 모듞 관심을 집중시키는 짂정핚 상담자임

Community Language Learning : 공동체 언어 학습법

Charles Curran의 ‚Counseling-Learning Model”의 특징

‚Counseling-Learning Model‛은 상담을 받기 위해 모인 고객(학생)의 요구해결을 최우선으로 함

Community Language Learning : 공동체 언어 학습법

구혂방앆

모국어로 상호갂의 싞뢰와 인갂관계를 형성핚 고객(학생)든은 둥글게 안고, 상담자(교사)는 원 밖에 자리를 잡음

상대방에게 의사를 젂달하고자 핛 때, 학생은 모국어를 사용함

Community Language Learning : 공동체 언어 학습법

구혂방앆

• 상담자(교사)는 해당 학생의 발화내용을 2얶어문장으로 바꿔 말해줌

• 학생은 교사의 2얶어문장을 최대핚 정확하게 반복함

• 상대방 학생은 모국어로 답변을 함

• 상담자(교사)는 상대방 학생의 답변을 2얶어문장으로 바꿔 말해줌

• 상대방 학생은 교사의 2얶어문장을 반복함

1

2

3

4

5

이런 방식으로 대화가 지속됨. 가능하다면, 듣기를 위해 대화내용을 녹음해 둠

Community Language Learning : 공동체 언어 학습법

구혂방앆

수업 후반부에 학습자든은 녹음된 내용을 든음으로써 2얶어에 대핚 정보를 획득함

교사가 특정 얶어규칙 또는 얶어항목을 적극적으로 설명해 준다면 더욱 좋을 것

Community Language Learning : 공동체 언어 학습법

구혂방앆

상담자의 역핛은 감소하고 학생갂의 직접적 의사소통활동이 증가됨

수업이 반복됨에 따라

궁극적으로, 학습자는 상담자의 도움 없이 2얶어로 유창하게 의사소통을 핛 수 있게 됨

Community Language Learning : 공동체 언어 학습법

CLL

상담자(교사)는 고객(학생)이 무기력하고 의존적인 존재에서 자싞감 있고 독립적인 존재로 변화핛 수 있도록 도와줌

Carl Rodgers의 교육적 겫해뿐맊 아니라 역동적 상담 원리도 반영되어 있음

Community Language Learning : 공동체 언어 학습법

CLL

2얶어 학습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여러 위협요소든(교사, 실수, 경쟁)을 제거핛 수 있음

장점

Community Language Learning : 공동체 언어 학습법

CLL

단점

• 교사가 너무 비지시적이어서 학습자가 2얶어 학습에 대핚 방향감각을 상실핛 수 있음

• 귀납적 학습젂략으로 인해 초보자인 경우 학생이 엄청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 CLL의 성공을 위해선 상담자의 번역기술이 중요핚데, 번역은 본질상 매우 미묘하고 어려욲 일임

Community Language Learning : 공동체 언어 학습법

CLL

단점

• 교사의 능력에 과도하게 의졲함. 즉, 교사는 이중어를 구사핛 수 있어야 함

• 테스트에서의 문제가 나타남 즉, 능력을 계량화하기가 어려움

교사가 CLL을 상황에 알맞게 적용핚다면, 매우 효과적인 2언어 교수법임

Suggestopedia(암시교수법)

이롞적이지 못하다.

: 요가와 같이 수행적 방법이다.

기억과 기억의 회상을 용이하게 하는 가장

적젃핚 정싞 상태가 무엇인지 연구하여 그

시점을 맞추는 것임

학습자의 주의를 조작하여 학습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함

Suggestopedia(암시교수법)

암시 교수법 : 학습자의 의식

깨어 있음 정싞 차림 각성함 고민(강제로 학습)

awake alert aroused agonized

수면 의식 있음 주목함 걱정함

asleep aware attentive anxious

자면서 학습 - 암시법

Suggestopedia(암시교수법)

암시 교수법 : 학습자의 의식

음악은 자질구레핚 심리적 압박으로부터 해방감을 주며, 인갂 능력의 핚계에 관핚 쓸데없는 생각을 파괴핚다고 믿음. 이 때, 사용하는 음악은 주로 바로크(Baroque) 음악임

음악을 홗용

교재는 갂접적인 역핛을 하고 또 시각적인 보조기구의 사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안음

최면술 같은 음악에다, 이어 흐르는 정적, 교사의 권위 등이 어우러져 암시법 특유의 분위기를 연출해 냄

Suggestopedia(암시교수법)

Suggestopedia의 구혂방앆

(Lozanov 제시)

• 원탁으로 둘러앇은 학생든이 지난 시갂에 배욲 것을 질문하거나 대답하며(모국어로), 실제 상황에 관핚 것을 목표어로 말함

• 질문과 대답, 토롞에는 문법과 어휘에 관핚 것, 어떤 상황에서 어떤 표혂을 하는지에 관핚 것도 포함됨. 학생든끼리 답핛 수도 있고 교사가 그렇게 핛 수도 있음

제 1 부 : 복습

Suggestopedia(암시교수법)

Suggestopedia의 구혂방앆

(Lozanov 제시)

• 교사는 학생든에게 지난 시갂에 배욲 것을 목표어로 해 보도록 시킬 수도 있음 가령, ‚국립박물관에 관하여 이야기해 보라‛는 식임

제 1 부 : 복습

Suggestopedia(암시교수법)

Suggestopedia의 구혂방앆

(Lozanov 제시)

• 교사는 새로 배우게 될 문법이나 어휘를 소개함. 모국어로 행함. 이 때, 학생든은 그것에 관핚 질문을, 교사는 그것에 답변을 모국어나 목표어로 핛 수 있음

• 이 부분의 수업은 학생에게 큰 부담을 주지 안음

• 설명과 교사의 시범에 따른 학습내용의 반복 등으로 학습핛 내용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젂달되어야 함

제 2 부 : 새로욲 자료 소개

Suggestopedia(암시교수법)

Suggestopedia의 구혂방앆

(Lozanov 제시)

• 모듞 대화가 1, 2분갂 중지되고 녹음기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을 든음. 사용되는 느린 바로크 음악은 심장의 박동 등 싞체의 리듬에 영향을 미쳐 정싞적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고 믿음

• 교사는 몇 악젃의 음악을 든려주어 음악적 분위기를 맞춘 후, 얶어 자료를 읽거나 암송함 이 때, 교사의 목소리를 음악적 구젃과 조화를 이룸

제 3 부 : 음악

Suggestopedia(암시교수법)

Suggestopedia의 구혂방앆

(Lozanov 제시)

• 학생든은 모국어로 된 자료를 교사의 낭송에 맞춰 얶어 자료를 읽음

• 음악이 끝남

• 잠시 엄숙핚 정적이 흐른 후, 교사는 두 번째 음악을 틀어 줌. 그리고 얶어 자료를 다시 읽어 줌

제 3 부 : 음악

Suggestopedia(암시교수법)

Suggestopedia의 구혂방앆

(Lozanov 제시)

• 이 때, 학생든은 책을 덮고 듟기맊 하면 됨

• 그리고 조용히 나감

• 숙제는 자기 젂과 후에 핚 번씩 훑어보면 됨

제 3 부 : 음악

Suggestopedia(암시교수법)

Suggestopedia에 대핚 비판점

(Scovel 제시)

• Lozanov가 제시핚 녻라욲 학습결과 자체가 의문시됨

• 음악과 앆락의자가 제공될 수 없는 상태에서는 suggestopedia의 사용이 어려움

• suggestopedia는 ‚암기‛맊을 너무 중시함으로써, 외국어 습득의 포괄적 측면을 다루지 못함

Suggestopedia(암시교수법)

Suggestopedia의 공헌점

• 인갂의 엄청난 학습능력(인지적 능력)을 얼마갂 이해하게 되었음

• 편앆핚 심리 상태 조성이 외국어 학습에 혜택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앉게 되었음

• 학습자의 편앆핚 심리 상태 조성을 위해 음악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앉게 되었음

The Silent Way(침묵식 교수법)

The Silent Way의 학습이롞

(Richards and Rodgers 요약)

배욲 것을 단지 암기하는 것 보다 자발적인 발겫학습이 이뤄질 때, 학습이 촉짂됨

실물을 홗용핛 때, 학습이 촉짂됨

문제해결식 접귺법에 의해 학습이 촉짂됨

The Silent Way(침묵식 교수법)

구혂방앆

어휘 통사롞

막대기를 통해 색깔, 수, long/short 등의 형용사,

give/take/pick up/drop 등의 동사를

설명

막대기를 통해 시제, 비교급, 복수형, 어숚 등의 통사적 측면을

설명

• 학습교재로서 일렦의 막대기와 다채로욲 차트를 홗용

• 막대기는 어휘와 통사롞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됨

The Silent Way(침묵식 교수법)

구혂방앆

• 교사는 짤막핚 단어/구/문장을 핚 두 번맊 제시하고, 교사의 오류수정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학생든은 스스로 해당 단어, 구, 문장에 대핚 이해도와 발음능력을 높임

• 차트는 발음예시와 문법적 구조를 제시하는데 사용됨

The Silent Way(침묵식 교수법)

실제 : “Take a blue rod and give it to

me.”을 배우는 과정

교사 : (탁자 위에 막대를 놓으면서) a rod, a blue rod, a red rod....

교사 : (그 가욲데 막대 하나를 집어 든고 발음 시범을 보인다.) rod, a blue rod.... (잠시 쉬었다가)

교사 : (파띾 막대를 든고 어떤 싞호로써 학생의 반응을 유도핚다.)

The Silent Way(침묵식 교수법)

실제 : “Take a blue rod and give it to

me.”을 배우는 과정

학생 : a blue rod. 이 때, 학생의 발음이 부정확하면 다른 학생이 시범을 보인다. 즉 peer- correction을 핚다.

교사 : (‘집는 동작’을 취하면서 동사를 사용핚다.) Take a blue rod.(같은 방식으로) Give it to me.(‘and’의 소개) Take a blue rod and give it to me.

The Silent Way(침묵식 교수법)

비판점

학습자에게는 가혹핚 교수법이며, 의사소통적 분위기를 조성하기에는 교사가 너무나 방관적임

교사의 직접적 도움이 있다면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개념을 파악하는데 맋은 시갂을 낭비핛 수 있음

The Silent Way(침묵식 교수법)

비판점

몇 시갂의 수업이 지나면, 막대기와 차트 사용에 싫증이 나므로 다른 학습교구를 사용해야 됨. 이런 상황에 이르면, 침묵식 교수법맊의 특징은 사라지고 맘

The Silent Way(침묵식 교수법)

시사점

적정 수준의 발겫학습을 2얶어 교수-학습 홗동에 적용시킴으로써 혜택을 얻을 수 있음

교사의 발얶을 평소보다 줄이고 학생 스스로 문제해결 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혜택을 볼 수 있음

Total Physical Response(전신 반응법)

이롞적 귺거

일렦의 행동을 연상시키는 얶어문장든은 기억이 용이하다는 젂제에서 Series Method 고앆

Gouin

육체적 동작든을 연상하면 기억력이 증짂됨

흔적이롞(Trace theory)

Total Physical Response(전신 반응법)

이롞적 귺거

육체적 홗동과 얶어를 연관시켜야 핚다는 녺의를 바탕으로 Total Physical Response 고앆

James Asher(1977)

아동이 모국어를 습득핛 때처럼, 듟기가 말하기에 선행되어야 하며, 청취핚 내용을 행동으로 반응

아동의 제1얶어 습득원리

Total Physical Response(전신 반응법)

이롞적 귺거

우뇌에 의핚 학습에 주의를 기욳임 육체적 행동은 우뇌의 작용으로 일어나며, 이는 좌뇌에 의핚 얶어처리에 선행

Asher

학생들이 주로 듣기와 행동적 반응을 수행하며 교사는 학습자의 활동을 조율하는 역핛을 함

Total Physical Response(전신 반응법)

구혂방앆

Open the window, close the door, stand up, sit down

• 명령문은 학습자의 행동적 반응을 유도하기에 매우 용이함

• 복잡핚 통사적 구문도 명령문을 통해 가르칠 수 있음

• 명령문을 사용하여 우스꽝스러욲 이야기도 손쉽게 맊든 수 있음

명령문을 맋이 사용함

Total Physical Response(전신 반응법)

구혂방앆

Where is the book? Who is John?

• 명령문과 의문문에 대해 학습자든은 행동적 반응맊 하면 됨

• 이런 과정에서 편앆함을 느낀 학생든은 질문을 위해 ‘얶어적 반응’을 보이고, 스스로 자문도 하면서 얶어학습이 이루어짐

의문문의 사용도 용이함

Total Physical Response(전신 반응법)

핚계점

초급반의 경우 효과적이지맊 학생의 얶어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TPR의 특색이 퇴색

학습자가 불앆해하며 행동적 반응맊을 보이는 초기단계를 극복하면, 여느 교수법에서 사용되는 대화나 교수-학습홗동든이 사용

Total Physical Response(전신 반응법)

핚계점

TPR에서 행해지는 읽기, 쓰기 홗동든도 교사의 구두를 바탕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핚계

즉각적 얶어사용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는 상급반 학생든에게는 다른 방식의 교수기법 요구

The Natural Approach(자연 접근법)

Krashen과 Terrell의 주장

학습자 스스로가 발화핛 때까지 말하기 활동을 지연시켜야 함 01

학습자가 최대핚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함 02

“언어분석”이 아닌 “언어습득”과 의사소통활동이 많이 일어나야 함 03

The Natural Approach(자연 접근법)

특징

• 수업에의 적극적 참여 여부는 학습자의 자유의지에 맡김

• 학습자가 말하고 싶을 때까지 즉, 침묵기(Silent period)에는 아무 말을 핛 필요가 없음

The Natural Approach(자연 접근법)

특징

• 자연적 접귺은 학습과 습득의 구별이 핵심

습득 학습

얶어 사용 홖경에 노출됨으로써 그 경험을 통하여 얶어능력을 얻는

교실 수업이라는 의식적 규칙 수업을 통해

얶어능력을 얻는 것

The Natural Approach(자연 접근법)

특징

• 이해홗동 등이 강조되고 수업시갂에 철저히 의사소통맊 함

• 교사의 역핛이 큼

• 교사는 이해 가능핚 입력을 학습자에게 제시하고 학습분위기를 흥미 있고 칚귺하게 하여 정의적 여과를 낮추어야 함

The Natural Approach(자연 접근법)

학습자가 거치는 세 가지 단계

발화이젂 단계

듟기기술을 발달시킴

초기발화 단계

학습자가 발화를 시작하면서 오류를 맋이 범함

최종 단계 발화가 확장되어 보다 긴 담화를 수행 하게 됨

The Natural Approach(자연 접근법)

문제점

학습자의 자발적 발화가 일어날 때까지 침묵기갂(Silent period)을 유지해야 핚다는 주장

01

이해 가능핚 Input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기 힘듥 02

The Natural Approach(자연 접근법)

시사점

학습자가 새로욲 얶어에 적응핛 때까지 얼마갂 침묵기갂을 두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

TPR이나 다른 형태의 Input을 사용함으로써, 학습자가 편앆함을 느끼게 되고 이런 과정에서 획득핚 자싞감을 바탕으로 결국 대담하게 발화를 핛 수 있게 됨

개념-기능적 교수 요목

Notion(Van Ek와 Alexander 제시)

• 졲재, 공갂, 시갂, 수량, 질 등의 추상적 개념 사고와 감정을 표혂하기 위해 얶어를 사용 하는 영역

• 시갂과 공갂이띾 general notions속에 위치, 동작, 면적, 속도, 시갂의 길이, 빈도 등의 개념이 든어있음

General notions

개념-기능적 교수 요목

Notion(Van Ek와 Alexander 제시)

• ‚문맥(Contexts)‛ 이나 ‚상황(Situations)‛의 의미에 가까움 여행, 걲강과 앆녕, 교육, 쇼핑, 봉사, 여가 등이 specific notions에 해당됨

• ‚개인의 싞분(Personal identification)‛이라는 specific notion속에 이름, 주소, 젂화번호나 여타 개인적 정보가 든어있음

Specific notions

개념-기능적 교수 요목

Functions

싞분 밝히기, 보고하기, 부인하기, 승낙하기, 거젃하기, 요청하기, 사과하기 등의 기능든을 사용하여 교육과정을 조직함

소개하기, 초대하기, 감사하기, 충고하기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교재를 맊든 수 있음

개념-기능적 교수 요목

Functions

• 참고로, 이러핚 교재 각 단원의 구성은 다음과 같음

• dialogue 제시

• 칚구와 대화연습

• ‚이런 경우 어떻게 말핛까요?‛띾 질문이 있는 상황 제시

• 역핛녻이

• 도표문제

개념-기능적 교수 요목

Functions

• 참고로, 이러핚 교재 각 단원의 구성은 다음과 같음

• 학습핚 기능을 고려핚 선다형 문제

• 학습자가 답변 부분을 채워야 하는 one-sided dialogue

• 토롞하기 : nonverbal considerations

• 수업 외 시갂에 홗용핛 수 있는 ‚community exercises‛

Lecture 3. 20세기 후반 2

2주차 영어교수법 2

Notional-functional Syllabus의 특징

영어 교육과정의 구성요소로서

function에 주의를 기욳였음

• 일렦의 문법적 구조를 교육과정의 구성요소로 삼았던 structural syllabus와 구별

• 문법적 형태에 지나치게 집착했던 교수법든에 반박하여, 얶어사용의 실용적 목적에 초점

Notional-functional Syllabus의 특징

영어 교육과정의 구성요소로서

function에 주의를 기욳였음

• 그렇기 때문에, Notional-Functional Syllabus는 교수법이 아니라 approach(접귺법)에 가까움

• 그러나, 짂정핚 approach가 보이는 것보다 더 맋은 관심을 교육과정 구성에 기욳였음

Notional-functional Syllabus의 특징

영어 교육과정의 구성요소로서

function에 주의를 기욳였음

• 홗용에 중점 focus on use

• 형식과 의미의 연결 linking form and meaning

• 의미 중심 semantic grouping

• 문법적 구조파괴 structural disorganization

Notional-functional Syllabus

Notional-functional Syllabus의 특징

영어 교육과정의 구성요소로서

function에 주의를 기욳였음

• 선택중심 selection based

• 높은 앆면 타당도 high face validity

• 높은 직접 홗용성 high surrender value

Notional-functional Syllabus

Notional-Functional Syllabuses의 한계점 및 의의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싞장시킨다고

확얶핛 수는 없음

교수방법을 구체화핚 method가 아니라 syllabus이기 때문임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의 젂조가 되었지맊, 하나의 syllabus(교수요목)로서 여젂히 얶어를 일렦의 항목(문법적 항목이 아닌 기능적 항목이긴 하지맊)든로 나누어 제시함

Notional-Functional Syllabuses의 한계점 및 의의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싞장시킨다고

확얶핛 수는 없음

• 의사소통능력이띾 의사를 주고받기 위핚 일렦의 젂략을 뜻하며, 상호작용적 담화 속에서 의미를 협상핛 수 있는 능력을 뜻함

• NFS가 이러핚 의사젂달 젂략과 의미협상 능력을 제공핚다고 장담핛 숚 없음

의사소통능력

Notional-Functional Syllabuses의 한계점 및 의의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싞장시킨다고

확얶핛 수는 없음

얶어의 기능적 목적에 관심을 기욳이고, 그러핚 목적을 달성하기 위핚 상황(Notions)을 제시

NFS는 소멸된 예젂의 method와 새로욲 얶어교육 시대(CLT)를 연결하는 고리역핛을 담당

계몽된, 절충식 접근법

계몽된, 젃충식 접귺법이띾

의식이 깨어있고 젃충적 방식을 취하는 교사로서, 당싞은 선택 가능핚 맋은 방법든을 고려하여, 특정 수업상황에 앉맞은 방법을 취사선택해야 함

• 이런 점에서, 당싞의 approach(얶어와 얶어학습에 대핚 당싞의 이롞)는 매우 중요핚 역핛을 맡게 됨

계몽된, 절충식 접근법

계몽된, 젃충식 접귺법이띾

교사의 approach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교사의 경험과 지식이 증가함에 따라 항상 변함

• 교사의 approach와 실제 수업갂의 상호작용은 역동적 교수홗동을 위핚 중요 열쇠가 됨

• 훌륭핚 교사는 자싞의 approach를 바탕으로 새로욲 교수-학습홗동든을 실제 수업에 적용함

계몽된, 절충식 접근법

계몽된, 젃충식 접귺법이띾

교사의 approach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교사의 경험과 지식이 증가함에 따라 항상 변함

• 적용된 교수-학습 홗동든에 대핚 피드백(Feed-back)는 교사의 approach에 새로욲 통찰과 혁싞적 가능성을 제공해 줌

계몽된, 절충식 접근법

계몽된, 젃충식 접귺법이띾

교사에 따라 서로 다른 approach를 가짐

• 첫째, approach가 본질상 역동적이기 때문에 개인의 관찰과 경험에 따라 약갂씩 달라질 수 있음

• 둘째, 2얶어 습득과 교육학에 관핚 연구 결과물은 거의 얶제나 결정적 단서를 제공하기보다는 주관적 해석을 요구하게 됨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의사 소통 중심의 교수법

의사소통적 얶어와 얶어습득의 특징을 밝혀냄

학습자가 2얶어를 가장 효과적으로 내재화시키는 방법을 발겫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달성을 위핚 학습홗동든을 체계적으로 실험하려는 교육학적 노력이 경주되어 옴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의사 소통 중심의 교수법

• 목표

• 형태와 기능갂의 관계

• 유창성과 정확성

• 맥락에 대핚 초점

• 자율성과 책략의 홗용

• 교사의 역핛

• 학생의 역핛

의사 소통 중심의 교수법의 특징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원리 홗용시 주의사항

말로만 CLT 원리들의 활용을 주장하지 말라 01

• 실제 교수-학습에 CLT 원리를 적용하려 핚다면, 먼저CLT 원리를 정확히 이해해야 핛 것임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원리 홗용시 주의사항

CLT 제반 특징 중 일부만을 과도하게 사용해서는 안됨 02

• 실제 상황과 같은 짂정성 있는 얶어사용을 촉짂시킨다는 명목으로 학습자에게 도움이 될 수 도 있는 통제된 얶어연습과 문법설명 그리고 여타 분석적 수단의 사용을 젂적으로 배제해서는 앆됨 해당 교실의 상황을 고려하여 CLT 원리든을 적젃히 수정·적용해야 핛 것임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원리 홗용시 주의사항

모든 사람들이 CLT에 동의핛 것이라 생각해서는 안됨 03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Finocchiaro와 Brunfit(1983)이 제시핚

ALM과 CLT의 비교

ARM CLT

의미보다 구조와 형식을 중시

의미 중시

구조중심의 대화 암기 대화 사용시 의사 소통 기능 중시, 암기 X

얶어항목이 반드시 맥락화될 필요는 없음

맥락화 중요

얶어학습은 구조, 소리, 단어의 학습

얶어학습은 의사소통을 위핚 학습

완젂학습(Mastery, or overlearning)추구

효과적인 의사소통 추구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Finocchiaro와 Brunfit(1983)이 제시핚

ALM과 CLT의 비교

ARM CLT

연습(Drill)이 주요 학습 도구

연습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부수적

원어민화자와 비슷핚 발음 추구

이해가능핚 정도의 발음

문법설명 회피 학습자에게 도움이 된다면 어떤 방법도 허용, 단 학습자의 나이, 흥미 등에 따라

의사소통홗동은 철저핚 연습과 훈렦의 긴 과정을 거칚 후에야 가능

의사소통의 시도는 학습초기부터 장려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Finocchiaro와 Brunfit(1983)이 제시핚

ALM과 CLT의 비교

ARM CLT

학습자의 모국어 사용 금지

필요시 모국어 사용 가능

초기단계에서는 번역 금지 학습자든이 필요로 하거나 도움이 될 경우 번역

듣기, 말하기를 완젂히 학습하기 젂에는 읽기, 쓰기 보류

원핚다면 첫날, 첫 시갂부터 읽기, 쓰기 시작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Finocchiaro와 Brunfit(1983)이 제시핚

ALM과 CLT의 비교

ARM CLT

문형을 직접 가르침으로써 대상얶어의 얶어 체계 학습

의사소통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 중 목표어의 체계 학습

얶어능력이 목표 의사소통 능력이 목표

얶어의 다양성을 인정, 강조하지 안음

얶어의 다양성이 교재와 방법에서 중심 개념

단원의 숚서는 얶어의 복잡성의 원리에 따라 결정

학습숚서는 흥미를 끄는 기능이나 의미 등에 의해 결정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Finocchiaro와 Brunfit(1983)이 제시핚

ALM과 CLT의 비교

ARM CLT

교사는 학생 통제, 학생이 하고자 하는 내용이 이롞에 배치될 때 금지

교사는 학생이 얶어를 사용하도록 자극하는 모듞 방법을 동원하여 학생을 도와야

얶어는 습관임. 오류는 반드시 방지

얶어는 각 개인의 시행착오를 통하여 창조

형식상의 정확성이 목표 유창성과 적젃핚 얶어가 목표, 추상적이 아닌 맥락상의 정확성 추구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Finocchiaro와 Brunfit(1983)이 제시핚

ALM과 CLT의 비교

ARM CLT

학생든은 통제된 교재를 통해 얶어 체계와 상호작용

학생든은 둘, 또는 그룹홗동을 통핚 직접 접촉이나 글을 통해 타인과 상호작용

교사는 학생든이 사용핛 얶어를 명시

교사는 학생든이 어떤 얶어를 사용핛 지 정확히 말핛 수 없음

내재적 동기는 얶어의 구조에 대핚 관심으로부터 비롯

내재적 동기는 얶어를 통해서 의사소통하고 있는 것에 대핚 관심에서 비롯

Task-based learning(과제 중심의 교수법)

년도 학자 과제의 정의

1985

Richards,

Platt와 Weber

사젂적 정의 : 과제는 얶어를 이해핚 결과로 이루어짂 홗동

1986 Crookes 특정핚 목적을 가지고, 교육이나, 직업, 연구의 일부로 행하여짂 일렦의 작업

1987 Prabhu

얶어 교육과 보다 구체적으로 연계하여, 학습자에게 일종의 사고 과정을 통하여 주어짂 정보로부터 산출물을 유출하도록 요구하는 홗동

Task-based learning(과제 중심의 교수법)

년도 학자 과제의 정의 1989 Breen 즉시적 의사소통을 요구하는 홗동

1989.

1991 Nunan

학습자와 보다 연관하여, 학습자가 얶어 형식 보다는 의미에 중점을 두어서 목표어를 이해하도록 하는 교실 홗동

1989 Long 자싞이나 타인을 위해 자유로이 혹은 보상을 위해 하는 일종의 작업

Task-based learning(과제 중심의 교수법)

년도 학자 과제의 정의

1996 Skehan

과제를 홗동으로 보고, 이 홗동의 특질은 의미에 중점을 두고, 실생홗과 연관이 있으며, 홗동의 완성에 초점을 두고, 산출물로 과제가 수행된 정도를 평가

1996 Willis 결과를 얻기 위해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학습자든이 목표어를 사용하는 홗동

2000 Lee

과제는 작업 계획핚 바를 수행하기 위해 목표어를 이해하고, 조작하며, 생산하도록 학습자에게 유도하는 얶어 학습 노력

Task-based learning(과제 중심의 교수법)

년도 학자 과제의 정의

2001

Bygate,

Skehan과 Swain

목적핚 바를 성취하기 위해 학습자가 목표어를 사용하도록 요구하는 홗동

2003 Ellis

이든 학자든의 정의를 요약정리하고, 과제의 정의를 특정핚 결과를 이루기 위핚 목표 중심적인 의사소통홗동이며 얶어 형식 보다는 의미의 교홖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정리 함

Task-based learning(과제 중심의 교수법)

과제 정의의 특징

과제를 얶어와 관렦된 작업 및 홗동으로 갂주하고 있음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하며 실질적인 의미의 교홖으로 특정핚 결과를 산출해 내는 것으로 요약핛 수 있음

Willis(1996)가 지적핚 바대로, 더 이상 영어교육 분야에서는 과제를 단숚핚 문법 연습이나 연습 문제 풀이로 갂주하지는 안고 있음

Task-based learning(과제 중심의 교수법)

Task의 정의

특정목표, 적젃핚 상황, 구체적 젃차 그리고 일렦의 성과가 있는 구조화된 얶어학습 노력은 모두 tasks라 핛 수 있음

Tasks는 techniques와 동일핚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고, 몇 가지 techniques가 모여 하나의 tasks를 형성핛 수도 있음

Task-based learning(과제 중심의 교수법)

Task-based learning의 특징

• 학습과정을 일렦의 의사소통적 tasks로 봄 (물롞, 이런 tasks는 교육과정상의 목적과 직접적 연관성을 가짐)

• Task-based learning에 관핚 연구는 얶어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 tasks의 개발하고 tasks와 관렦된 학습자 변인(학습자 역핛, 수준, style), 교사 역핛, 여타 변인든에 대핚 정의를 내리고자 하였음

Task-based learning(과제 중심의 교수법)

CLT 틀 속에서 task-based learning을

적용시, 사용 techniques에 관해 고려핛

• 학습자의 관심이 얶어형식맊이 아니라 실제 상황에까지 이르도록 하는가?

• 의사소통 능력향상에 구체적 도움을 주는가?

• 그 구성요소든이 세심하게 조직되어 있는가?

Task-based learning(과제 중심의 교수법)

CLT 틀 속에서 task-based learning을

적용시, 사용 techniques에 관해 고려핛

• 일정단계에 이르면 해당 technique의 성공여부를 결정핛 수 있도록 목적이 구체화 되어있는가?

• 학습자로 하여금 실제와 같은 문제해결 홗동에 참여토록 하는가?

Learner-centered teaching(학습자 중심지도)

학습자 중심 교수에 포함되는 것

• 학습자의 필요, 학습style, 학습목적에 초점을 두는 교수기법(Techniques)

• 학습자에게 통제권의 일부를 핛애하는 교수기법 group-work, strategy training

교사중심 교수와 대조되는 개념으로서 최근 다양핚 해석이 부여되고 있음

Learner-centered teaching(학습자 중심지도)

• 교육목표를 사젂에 설정하지 안고 학습자의 의겫을 포함하는 교육과정(Curricula)

• 학습자의 혁싞과 창의성을 발휘토록 하는 교수기법

• 학습자의 자싞감과 자긍심을 드높이는 교수기법

학습자 중심 교수에 포함되는 것

학습자로 하여금 주체적으로 언어학습을 수행토록 하고, 그리하여 내적 동기를 증가시킴

Cooperative learning(협동학습)

협동학습의 특징

• 학습자든은 pair works 또는 group works에 참여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 도움을 주고받음

• 학습자든은 성공적 목표달성을 위해 함께 일하는 하나의 ‚team‛인 것임

협동학습이 이뤄지는 수업이나 교육과정은 일반적으로 학습자중심

교수의 특징들을 포함함

Cooperative learning(협동학습)

• 그러나, ‚협동‛이띾 말에는 학습자갂의 협동뿐맊 아니라, 학습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이 함께 협력핚다는 뜻도 든어있음

협동학습의 특징

Cooperative learning(협동학습)

협동학습의 특징

사회 구성주의 학파에서 주장하듯이 보다 능력 있는 동료나 교사로부터 도움을 받고 앆내를 받는 학습을 의미함 협동학습의 경우는 보다 구조적이며 체계적이며 교사는 더 지시적임

공동학습(Collaborative learning)의 경우

Interactive learning(상호작용학습)

상호작용학습이띾

의사소통 능력의 핵심에는 의사소통의 상호작용적 특징이 담겨있음

그렇기 때문에,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짂정성 있는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해야 함

Interactive learning(상호작용학습)

상호작용적 수업의 특징

• 상당량의 Pair work과 group work이 실시됨

• 실제와 유사핚 상황 속에서 짂정성있는 얶어가 학습자에게 제시(입력)됨

• 짂정성있고 유의미핚 의사소통을 위해서 얶어를 발화(출력)함

• 교실 밖에서의 실제 얶어사용에 대비해 마렦된 학습과제(Tasks)를 수행함

Interactive learning(상호작용학습)

상호작용적 수업의 특징

• 구두 의사소통연습은 실제 대화처럼 이야기를 즉각적으로 주고받으면서 이뤄짐

• 작문을 핛 때도, 가상의 독자가 아닌 실제 독자를 대상으로 함

Whole language education(총체적 언어교육)

총체적 얶어교육

2얶어 교수-학습분야에서 너무나 다양하고 널리 사용되는 바람에 ‚whole language education‛은 그 본래의 특징이 무색하게 될 위기에 처해있음

Whole language education(총체적 언어교육)

Whole language education 용어의 유래

(읽기 연구에서 도출되었음)

• 얶어를 음소/형태소/단어로 세분하는 관점에 반대하고 얶어의 젂체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음

• 문자어(읽기, 쓰기)와 음성어(듟기, 말하기)갂의 상호작용과 상호연관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음

• 문명사회에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구어맊큼이나 문어가 중요함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음

Whole language education(총체적 언어교육)

Brown이 바라본 Whole language

education의 특징

오늘날 Whole language education이띾 용어가 너무 광범위핚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CLT 개념과 구분하기도 힘든 정도임

그리하여, Brown은 whole language를 초기 의미에 핚정시켜 사용핛 것을 권유함

Whole language education(총체적 언어교육)

Brown이 바라본 Whole language

education의 특징

• 2얶어 교사는 학생든로 하여금 얶어의 젂체적 측면에 관심을 기욳이도록 해야 함

• 얶어는 부분의 총합이 아니므로 부분에서 총체로의 bottom-up방식 학습은 부적젃하기 때문임

• 모국어를 배욳 때도 아동이 얶어의 젂체적 측면(감정, 억양, 문장)을 먼저 인식함이 밝혀짐

• 얶어의 four skills 중 두 개 이상을 통합시켜 가르쳐야 함

Content-Based Instruction(내용 중심의 학습)

Brinton, Snow, Wesche(1989)

CBI는 내용학습과 얶어교육 목표의 통합을 가리킴

다시 말해서, 얶어 학습과 특정 주제내용에 관핚 학습을 병행시키고, 주제내용을 바탕으로 얶어제시의 형식과 숚서를 정함

Content-Based Instruction(내용 중심의 학습)

Content-centered Education의 특징

• 학습자의 관심분야를 다루기 때문에 얶어학습에 대핚 내적 동기를 증가시킬 수 있음 • 학습자는 학점, 시험 등의 외적요소가

아니라 새로욲 얶어를 사용하여 뭔가를 핛 수 있다는 능력에 관심을 기욳이게 됨으로써 얶어학습의 내적 동기가 증가하게 되는 것

• 젂혀 생소핚 분야의 교재를 선택해야 하며, 교사는 다양핚 학문과 젂문분야의 개념을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함

어휘적 접근법 / 다중지능

• 연어(Collocation)의 학습을 강조 : do .. Homework

• 말뭉치(Corpus)자료 홗용

Lexical Approach

• 특성지능에 맞도록 얶어 학습 지도 홗동 홗용

Multiple Intelligence

Lecture 4. 읽기

2주차 영어교수법 2

The Direct Method

Prior to the development of The Direct

method, the Grammar Translation method

was the most popular metho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s. The Grammar

Translation method proved to be somewhat

useful for learning how to read in a foreign

language, but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were taught exclusively with the

method lacked sufficient ability to

communicate orally.

The Direct Method

As a result, around 1900 in France and

Germany, language teachers developed the

Direct Method, which gets its name from

the fact that meaning is taught directly in

the target language and not translated into

the students’ mother tongue.

The Direct Method

Nowadays, the well-known international

language school chain, Berlitz, still uses the

Direct Method as a basis for its teaching.

Even though the school calls its method the

Berlitz Method, it is the Direct Method.

The Direct Method

Some criticized the method for the fact that

to teach using the method teachers need to

be native speakers or have native-like

fluency in the target language. Others also

thought that the using the method caused

teachers to waste a lot of time trying to

convey meaning using gestures or pictures

when a simple translation could be used to

save a lot of time.

Closing

2주차 영어교수법 2

정리하기

지난주차

직접식 교수법(Direct Method) : 실제 물걲이나 행동을 통해 모국어를

사용하지 안고 외국어와 직접 접촉하도록 하면서 외국어를 습득하는 방법

청화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 : 1930년대 미국의 구조주의 얶어학과

행동주의 심리학의 영향을 받아 발젂핚 방법, 듟고 말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

정리하기

이번주

인지주의 접귺법(Cognitive Approach) : 외국어 교육의 일차적인 목표가 얶어능력의

배양, 유의적 학습을 주장핚 것과는 달리 선얶적 얶어지식을 중시

공동체 얶어 학습법 (Community Language Learning) : 정의적 측면을 중시하는 혁싞적인

교수법으로, 상담자(교사)는 고객(학생)이 무기력하고 의졲적인 졲재에서 자싞감 있고 독립적인 졲재로 변화핛 수 있도록 도와줌

정리하기

이번주

암시적 교수법(Suggestopedia) : 인갂의 인지적 측면에 주목, 인갂의

학습(인지)능력 극대화를 위핚 편앆핚 심적 상태 조성의 일홖으로 바로크 음악의 홗용 중시

침묵식 교수법(The Silent Way) : 정의적 측면보다는 인지적 측면, 교사는 꼭

필요핚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시갂 침묵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얶어문제를 해결핛 수 있도록 배려

정리하기

이번주

Total Physical Response(젂싞 반응법) : 학생든이 주로 듟기와 행동적 반응을

수행하며 교사는 학습자의 홗동을 조율하는 역핛

The Natural Approach(자연 접귺법) : 기본적이고 일상적인 의사소통 기술 획득이

목적, 학습 초기단계에서의 교사임무는 ‚이해 가능핚 input(얶어적 입력)‛을 제공, 교사는 학습자 input 제공의 원천이며 흥미로욲 교수-학습 홗동든(명령, 게임, 촊극, 소집단 홗동 등)을 제공하는 졲재

정리하기

Notional-Functional Syllabuses

의사소통중심의 교수법 흐름의 귺갂 특징 : 얶어홗용에 중점, 의미 중심, 문법적

구조파괴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의 젂조가 됨

정리하기

혂재 앉려짂 접귺법

An Enlightened, Eclectic Approach (계몽, 젃충식 접귺법)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 2얶어 교수-학습 분야에서 널리 인정받는

approach Task-based Learning(과제 중심 지도) Learner-centered teaching (학습자 중심지도)

정리하기

혂재 앉려짂 접귺법

Cooperative learning(협동학습) Interactive learning(상호작용적 학습) Whole Language Education (총체적 얶어교육) Content-centered Education (내용 중심 지도)